반응형
macOS에서 이클립스로 스프링부트를 시작해 보겠습니다.
1. Spring Initializr 를 이용해 기본 프레임 만들기
접속하여, 기본 프레임 설정 ( 나는 web, jpa, h2, lombok )
Generate 를 클릭하여, 파일다운로드 압축해제 후, 이클립스에서 임포트를 한다.
임포트 할때, 그레이들 설정 오버라이트를 체크 한다.
lombok은 이클립스 적용을 위해 다운로드 후, java -jar lombok 으로 한번더 실행! 해서 이클립스에 적용시켜 준다.
적용되면 어바웃 이클립스에서 확인가능하다.
샘플 프로젝트의 실행을 위해서 Gradle Tasks 탭의 application > bootRun 을 클릭한다.
버그인지 모르겠지만 진행률은 56%에서 더 올리가진 않지만, 실행후
http://localhost:8080 으로 정상 확인이 가능하다.
2. 데이터 베이스 설정 (H2)
개발용으로 쓰기 쉬운 H2 를 설정해보자.
템플릿에 이미 포함을 해서 라이브러리에 같이 설치가 되었으므로, 리소스에 있는 프로퍼티 설정만 하면 된다.
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써준다.
spring.h2.console.enabled=true
spring.h2.console.path=/h2-console
spring.datasource.url=jdbc:h2:~/test;
spring.datasource.driverClassName=org.h2.Driver
spring.datasource.username=sa
spring.datasource.password=
spring.jpa.database-platform=org.hibernate.dialect.H2Dialect
그리고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하면
http://localhost:8080/h2-console 로 접속이 가능하다.
이제 준비는 끝났으니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!
반응형